모바일 메뉴 닫기
 

학과소개

보건행정학과의 교육이념은 보건 치료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개념적 및 방법론적 역량 개발을 통한 보건 증진과 복지 사회 구축입니다.
본 학과 프로그램의 우수성은 보건 관련 분야에서 점점 더 널리 알려지고 있습니다. 보건행정학과에서는 현재 보건경제학, 보건 정책, 병원경영, 의료사회학 및 지역보건 분야를 대표하는 6명의 전임교수와 2명의 겸임교수들이 활발한 연구와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교수명단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일반대학원 보건행정학과 교수명단
성명 직위 학위 전공
이규식(李奎植) 교수 Ph.D.(Univ. of Hawaii 84) 보건경제학
이해종(李海種) 교수 Ph.D.(연세대학교, 89) 병원경영학
진기남(秦基南) 교수 Ph.D.(Univ. of Illinois , 91) 보건사회학
서영준(徐榮浚) 교수 Ph.D.(Univ. of Iowa, 92) 병원경영학
정형선(丁炯先) 교수 Ph.D.(東京大學校, 95) 보건정책학
남은우(남은우) 교수 Ph.D.(Univ. of Toho, 91) 공중보건학

입학전형시행

서류심사와 구술시험에 대한 평가는 심사위원이 개별적, 비공개적으로 하며 이를 평균으로 산출한다.

< 서류심사 >
  • 1. 석사학위과정 : 서류심사의 배점은 총 200점 중 ①학업계획서 40점, ②대학성적 100점, ③외국어 능력과 연구업적 및 경력 60점으로 한다.
  • 2. 박사학위과정 : 서류심사의 배점은 총 200점 중 ①학업계획서 20점, ②대학성적 90점, ③대학원(석사)성적 50점, ④외국어 능력과 연구업적 및 경력 40점으로 한다.
< 구술시험 >
  • 1. 석사학위과정 : 구술시험의 배점은 총 100점 중 ①전공에 대한 지식 80점, ②학문에 대한 열성과 진지성 10점, ③전공에 대한 적성 10점으로 한다.
  • 2. 박사학위과정 : 구술시험의 배점은 총 100점 중 ①전공에 대한 지식 80점, ②학문에 대한 열성과 진지성 10점, ③전공에 대한 적성 10점으로 한다.

학사관련

< 석사과정 >
  • 1. 학위취득에 필요한 30학점 중 21학점은 반드시 본 학과에서 개설하는 과목으로 이수하여 야하며 나머지 학점은 학과장의 승인 하에 타 학과에서 개설되는 관련과목으로 이수할 수 있다.
  • 2. 학위논문 심사 이전에 자신의 연구를 1회 이상 학회에서 구두 발표(혹은 발표확정)하거나 학회지에 게재(혹은 게재확정)하는 것을 권장한다.
  • 3. 학위취득 1학기 전에 학위논문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논문제출 전에 1회 이상의 논문예비심사를 거쳐야 한다.
  • 4. 보건이외의 타 계열 전공 입학자는 입학 후 학과장의 승인 하에 전공분야의 학부 필수과목을 1과목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이중전공 제외)
  • 5. 보건학특론, 보건통계학의 2과목을 취득하여야 한다.
  • 6. 석사 조기졸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는 1) 박사과정입학을 하려는 자 2) 관련 학회지에 1회이상 게재(혹은 게재확정)를 하여야 한다.
< 박사과정 >
  • 1. 학위취득에 필요한 60학점 중 석사과정에서 이수한 과목 외에 15학점(세미나, 연구방법 및 실험 제외)을 반드시 본 학과에서 개설하는 과목으로 이수하여야 하며, 나머지 학점은 학과장과 상의하여 정한다.
  • 2. 입학 후 학위논문 심사이전에 자신의 연구논문을 2편 이상 학회지 또는 이와 동등하다고 인정되는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혹은 게재확정)하여야 한다. 단, 석박사 통합과정은 논문 3편 이상을 학회지에 게재(또는 게재확정)하되 그중 1편은 제1저자여야 한다.
  • 3. 학위취득 2학기 전에 학위논문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논문제출 전에 1회 이상의 논문예비심사를 거쳐야 한다. 또한 학위논문계획서 제출 전 논문계획서 발표회를 실시하는데 그 시기는 지도교수와 상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 4. 정규 일반대학원의 타 전공 석사학위 취득자는 학과장의 지도하에 본 학과 석사 과정의 과목(또는 이에 준 하는 과목)을 6학점 이상 이수(P/N) 하여야 한다.
  • 5. 석사과정을 포함해서 보건통계학, 보건학특론, 역학, 연구방법론의 4과목을 취득하여야 한다. 단, 유사과목은 학과장의 승인을 받아 인정한다.

자격시험

종합시험 및 외국어시험의 합격은 대학원장이 승인함으로써 확정된다.

< 외국어시험 >

석사학위과정 및 박사학위과정의 외국어 시험을 TOEFL(PBT), TOEFL(CBT), TOEIC, TEPS로 대체한다.

  • 1. 입학년도를 불문하고 석사과정은 논문 최종심사일 전까지 학과에서 공인한 학회지에 논문 2편 이상, 박사과정은 4편 이상, 석박사 통합과정은 논문 5편 이상을 게재(또는 게재확정)하고, 영어시험 성적은 기관TOEFL 500점, CBT 173점, TOEIC 630점, TEPS 500점 중 하나를 취득하여야 종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 2. 위 1항의 논문요구량을 채우지 못할 경우 석사과정은 기관TOEFL 530점, CBT 197점, TOEIC 700점, TEPS 600점, 박사과정은 기관 TOEFL 550점, CBT 213점, TOEIC 750점, TEPS 650점을 취득하여야 종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 3. 석사학위과정 및 박사학위과정의 입학전형에서 ②항의 합격점수 이상을 취득한 자는 자격시험을 면제한다.
  • 4. 외국어 시험은 각자 받은 TOEFL, TOEIC, TEPS 점수를 학과장에게 제출하고, 학과장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종합시험 >
  • 1. 응시자격
    • ① 박사학위과정은 외국어시험 합격자에 한하여 응시할 수 있다.
    • ② 석사학위과정은 정규등록 또는 연구등록이 되어 있는 학생으로서 대학원 과정을 1년 이상 이수하고 18학점 이상 취득한 자.
    • ③ 박사학위과정(및 석 · 박사통합과정)은 정규등록 또는 연구등록이 되어 있는 학생으로서 대학원 학위과정을 이수하고 석사학위 과정에서 취득한 학점을 포함하여 51학점 이상 취득한 자.
  • 2. 응시절차

    종합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학생은 소정기일 내에 응시원서 및 성적증명서 각 1통을 학과장에게 제출하여 자격 승인을 받은 후 응시하여야 한다.
    (2월 시험예정자는 전년도 11월 첫째 주, 8월 시험예정자는 해당년도 5월 첫째 주까지 종합시험 교과목을 제출하여야 한다.)

  • 3. 수험료

    종합시험 응시자는 수험료를 학과에 납부하여야 한다.

  • 4. 시험일자

    매년 2월 마지막 주 월요일과 8월 마지막 주 월요일에 실시하며, 부득이한 사정이 있을 경우 1주일 안에 시험을 실시한다.

  • 5. 시험방법
    • ① 석사학위과정 종합시험은 필답시험으로, 박사학위과정 종합시험은 필답시험과 구술시험으로 한다.
    • ② 석사학위과정 종합시험 평가위원은 대학원 강의 담당 교수 3인으로 하며, 박사학위과정 종합시험 위원은 5인으로 하되 대학원 강의 담당 교수 또는 그와 동등한 자격이 있는 외부 인사이어야 하며, 외부인사는 전체 시험위원중 2인 이내로 하며, 구술시험 위원은 필답시험 위원과 같다.
    • ③ 석사학위과정 : 보건학특론, 보건통계학, 전공 2과목의 총 4과목.
    • ④ 박사학위과정 : 본과석사출신은 전공과목 5과목(공통 1과목 포함), 타과석사출신은 보건학특론, 보건통계학, 전공 3과목(공통 1과목)의 총 5과목.
    • ⑤ 전공과목은 학위과정 중 이수한 과목에서 선택한다.
  • 6. 출제범위
    • ① 석사학위과정 : 전공영역과 연구 방법에 대한 기초 지식과 능력을 판정할 수 있는 문제를 출제한다.
    • ② 박사학위과정 : 전공영역 전체의 전문적 연구 방법에 대한 넓고 깊은 지식 능력을 시험한다. 다만, 개별 응시자의 전공영역을 감안하여 타 학과의 과목을 시험할 수 있다.
  • 7. 합격인정점수

    종합시험의 필답시험은 각 과목 모두 100점 만점에 80점 이상을 합격으로 인정하며, 박사의 구술시험은 시험위원 4인 이상의 찬성으로 합격을 결정한다.

  • 8. 재시험
    • ① 종합시험 응시과목 중 낙제 과목이 있는 자는 그 과목을 3주안에 재응시 하여야 한다.단, 낙제자(석사 2과목 이상, 박사 3과목 이상을 낙제한 자)는 해당학기에 재응시 할 수 없다. 재시험은 1학기 1회에 한한다.
    • ② 종합시험의 구술시험에 불합격한 자는 차후 1회에 한하여 구술시험에 재응시 할 수 있다.

학위논문제출

< 석사학위과정 >
  • 1. 졸업하고자 하는 학기 초(3월, 9월 말까지)에 논문제목과 논문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학위논문연구계획서를 지도교수와 위원(총3인)의 승인과 주임교수의 결재를 득하여 학과 사무실에 제출한다.
  • 2. 학위논문연구계획서 심사일정 : 이전학기 중
  • 3. 학위논문 예비심사 일정 : 중간고사 기간중
  • 4. 학위논문 본심사 일정 : 학기말고사 기간중
< 박사학위과정 >
  • 1. 졸업하고자 하는 학기의 전학기 중간고사 기간 이전까지 논문제목과 논문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학위논문연구계획서를 지도교수와 위원(총 5인)의 승인과 주임교수의 결재를 득하여 학과 사무실에 제출한다.
  • 2. 학위논문연구계획서 심사일정 : 계획서 제출과 동시에 이전학기 중간고사 기간중
  • 3. 학위논문 예비심사 일정 : 논문 제출학기 2회 이상 실시(첫 번째는 3월 혹은 9월 중, 두 번째는 지도교수와 협의 하에 실시한다.)
  • 4. 학위논문 본심사 일정 : 졸업예정학기 학기말고사 기간중

학위수여명

  • 석사 : 보건학석사, MA in Health Administration
  • 박사 : 보건학박사, Ph.D. of Health Administration

보건행정학과 교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