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학과소개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환경공학과는 1984년 이래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연구 인력을 양성해 온 역동적이고 진보적인 연구 기관으로서 환경과학 및 공학 분야의 지속 발전을 위한 지도자 양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우리의 교육목표는

  • 1) 지적 능력과 혁신성, 기업가 정신을 갖춘 전문 인력 양성 환경을 조성하고
  • 2) 환경 공학분야의 신규 아이디어 및 혁신의 원천이 되며
  • 3) 실제 생활에서 환경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기, 기술 및 솔루션 개발에 주력하는 것 입니다.

환경공학과는 새로 건립된 "원주 환경과학 기술연구소"에서 연구 활동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환경과학 기술연구소는 산업계와 타 대학과 연계하여 최첨단 분석 서비스 및 공동 연구를 제공할 것입니다. 또한 대학원 과정은 권위 있는 BK21 장학금을 비롯하여 많은 내부 장학금을 석박사 학생들에게 지원하고 있습니다.

교수명단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일반대학원 환경공학과 교수명단
성명 직위 학위 전공
강준원(姜畯遠) 교수 Ph.D (UCLA, 1989) 환경공학(상수도처리)
김성현(金省憲) 부교수 Ph.D (UCLA, 1989) 대기오염
노수홍(盧秀弘) 교수 Ph.D. (McMaster Univ., 1987) 환경공학(수질오염)
박상규(朴相圭) 교수 Ph.D (Texas A & M Univ., 1991)소음 소음진동/환경기계
서용칠(徐容七) 교수 Ph.D (Illinois Inst. of Tech., 1985) 대기오염제어
전병훈(田秉勳) 부교수 Ph.D. (Pennsylvania State Univ., 2001) 토양오염
정형근(鄭亨根) 교수 Ph.D. (Oregon State Univ., 1989) 환경화학/환경분석
조승연(趙勝衍) 교수 Ph.D (Purdue Univ., 1989) 핵화학
노현석(盧炫錫) 부교수 공학박사(연세대학교, 2001) 신재생에너지
구자건(具滋健) 부교수 공학박사(연세대학교, 2004) 토목환경, 위해성평가
박동희(朴東熙) 조교수 공학박사(포항공과대학교, 2005) 바이오에너지

입학전형시행

서류심사와 구술시험에 대한 평가는 심사위원이 개별적, 비공개적으로 하며 이를 평균으로 산출한다.

< 서류심사 >
  • 1. 석사학위과정 및 석·박사통합과정

    서류심사의 배점은 총 200점 중 ① 학업 및 연구계획서 40점, ② 대학성적 80점, ③ 추천서 30점, ④ 외국어능력 30점, ⑤ 연구업적 10점, ⑥ 경력 10점으로 한다.

  • 2. 박사학위과정

    서류심사의 배점은 총 200점 중 ① 학업 및 연구계획서 10점, ② 대학성적 40점, ③ 대학원(석사)성적 40점, ④ 추천서 10점, ⑤ 외국어능력 30점, ⑥ 연구업적 50점, ⑦ 경력 20점으로 한다.

< 구술시험 >
  • 1. 석사학위과정 및 석·박사통합과정

    구술시험의 배점은 총100점 중 ① 전공에 대한 지식 80점, ② 학문에 대한 열성과 진지성 10점, ③ 전공에 대한 적성 10점으로 한다.

  • 2. 박사학위과정

    구술시험의 배점은 총100점 중 ① 전공에 대한 지식 80점, ② 학문에 대한 열성과 진지성 10점, ③ 전공에 대한 적성 10점으로 한다.

학사내규

< 석사학위과정 >
  • 1. 석사학위과정 학생은 학위취득에 필요한 30학점 중 18학점은(세미나, 연구방법 및 실험 제외)본 학과에서 개설하는 과목으로 취득해야 하며, 나머지 학점은 주임교수의 승인 하에 타 학과에서 개설되는 과목으로 취득할 수 있다.
  • 2. 학부과정에서 타 학과를 졸업한 경우 입학 후 지도교수의 승인하여 전공분야 관련 본 학과 학부과정에서 학부 기초과목을 보충과목으로 1과목이상 이수토록 한다. 보충과목 이수 대상자는 주임교수가 정한다. 동일계열 입학자는 타 전공분야 학부과목을 2과목까지 수강할 수 있다.
  • 3. 학위논문 심사 이전에 자신의 연구를 1회 이상 학회에서 구두발표하거나 학회지에 게재(혹은 게재확정)하여야 한다.
  • 4. 세미나 2학점, 연구방법 및 실험 4학점을 취득하여야 한다.
< 석 · 박사통합과정 >
  • 1.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은 학위취득에 필요한 54학점 중 40학점은 본 학과에서 개설하는 과목으로 취득해야 하며, 나머지 학점은 주임교수의 승인 하에 타 학과에서 개설되는 과목으로 취득할 수 있다.
  • 2. 학부과정에서 타 학과를 졸업한 경우 본 학과 학부과정에서 보충과목 12학점을 이수토록 한다. 보충과목 이수 대상자는 주임교수가 정한다.
< 박사학위과정 >
  • 1. 박사학위과정 학생은 학위취득에 필요한 60학점 중 45학점(석사에서 이수한 30학점을 포함)(세미나, 연구방법 및 실험은 제외)은 본 학과에서 개설하는 과목으로 취득해야 하며, 나머지 학점은 주임교수의 승인 하에 타 학과에서 개설되는 과목으로 취득할 수 있다. 박사이수학점 60학점 중 석사이수학점 30학점을 가산할 수 있다.
  • 2. 석사학위과정에서 타 학과를 졸업한 경우 본 학과 석사학위과정에서 보충과목 12학점을 이수토록 한다. 보충과목 이수 대상자는 주임교수가 정한다.
  • 3. 입학 후 학위논문 심사 이전에 본인의 전공 관련 학회지에 2편 이상(국외 학회지 1편포함)을 게재(혹은 게재확정)하여야 한다. 단, 논문이 없는 경우 논문게재예정 및 투고한 논문의 내용에 따라 지도교수와 심사위원들의 심의결과에 의해 학위수여의 자격이 인정될 수 있다.
  • 4. 세미나 4학점, 연구방법 및 실험 8학점을 취득하여야 한다.
  • 5. 박사학위과정의 Full time 및 Part time 학생의 최소 재학기간은 각각 3년(6학기), 4년(8학기)을 원칙으로 하며, 최소기간내 졸업요건의 영어점수(PBT 520점, CBT 190점, TOEIC 680점, TEPS 580점)를 득하지 못한 경우 학과시행의 영어시험으로 대체한다.
  • 6. 박사과정에서 학위내용과 관련한 연구논문이 SCI급 및 SSCI급으로 2편이상 주저자로 게제학정시 1학기를 단축하여 학위수여를 인정한다. (Part 및 Full time 학생 모두 적용)

자격시험

종합시험 및 외국어시험의 합격은 대학원장이 승인함으로써 확정된다.

< 외국어시험 >
  • 1. 석사학위과정은 외국어시험을 PBT 500점, CBT 173점, TOEIC 630점, TEPS 540점을 합격점수로 한다.
  • 2. 석·박사통합과정 및 박사학위과정은 외국어시험을 PBT 520점, CBT 190점, TOEIC 680점, TEPS 580점을 합격점수로 한다.
  • 3. 석사학위과정 5학기 이상, 석·박사통합과정 11학기 이상, 박사학위과정 7학기 이상인 경우 학과시행 영어시험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석사학위과정 70점, 석·박사통합과정 및 박사학위과정 70점을 합격점수로 한다.
  • 4. 학과영어시험 응시자는 수험료를 학과에 납부하여야 한다.
  • 5. 외국어시험을 합격해야 종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종합시험
  • 1. 응시자격
    • ① 외국어시험 합격자에 한하여 응시 할 수 있다.
    • ② 석사학위과정은 정규등록 또는 연구등록이 되어 있는 학생으로서 대학원 과정을 1년 이상 이수하고 18학점 이상 취득한 자.
    • ③ 박사학위과정 및 석 · 박사통합과정은 정규등록 또는 연구등록이 되어 있는 학생으로서 대학원 학위과정을 석·박사통합과정은 5학기 이상, 박사학위과정은 3학기 이상 이수하고 석사학위 과정에서 취득한 학점(30학점)을 포함하여 51학점이상 취득한 자
  • 2. 응시절차

    종합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학생은 소정기일 내에 응시원서 및 성적증명서 각 1통을 소속 학과 주임교수에게 제출하여 자격 승인을 받은 후 응시하여야 한다.

  • 3. 수험료

    종합시험 응시자는 수험료를 학과에 납부하여야 한다.

  • 4. 시험일자

    매년 3월초와 9월초에 실시한다.

  • 5. 시험방법
    • ① 석사학위과정 종합시험은 필답시험으로 석·박사통합과정 및 박사학위과정 종합시험은 필답시험과 구술시험으로 한다.
    • ② 학위과정별 종합시험 과목은 다음과 같으며 석사과정은 3과목을, 박사과정은 5과목을 선택하여야한다. 단, 석사과정 학생은 대기와 수질 각 분야에서 2과목을 초과하여 선택할 수 없다.(종합시험은 외국어시험 합격자에 한하여 응시 할 수 있다.)
      < 과목 > 대기오염, 폐기물 및 대기오염제어, 수질오염, 정수처리, 생물학적수처리 환경분석, 소음진동, 토양/지하수오염, 실내공기/방사선환경, 환경화학 작업환경관리평가/환경독성, 환경영향평가/환경계획
  • 6. 출제범위

    종합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학생은 소정기일 내에 응시원서 및 성적증명서 각 1통을 소속 학과 주임교수에게 제출하여 자격 승인을 받은 후 응시하여야 한다.

  • 7. 합격인정점수

    종합시험의 필답전공시험은 100점 만점에 70점 이상을 합격으로 인정한다. 단, 평균점수가 합격점수 이상인 경우에도 응시 과목 중 한 과목이라도 70점 미만이 있는 경우에는 합격을 인정하지 않는다.

  • 8. 구술시험

    박사과정 및 석·박사통합과정인 학생의 구술시험과 필답전공시험은 각각 50점을 배점하고 총 100점 만점으로 하여 평가한다.

  • 9. 재시험
    • ① 종합시험에서 전공시험은 합격하고 영어시험이 불합격한 경우 다음의 종합시험에서는 이전에 합격한 전공시험의 점수는 인정하며, 영어시험만 응시한다. 단, 전공시험의 합격 인정 횟수는 2회까지로 한다.
    • ② 종합시험 응시과목 중 불합격 과목에 대해서는 한 학기 경과 후 그 과목을 재 응시하거나 다른 과목으로 대치하여 응시할 수 있다.
    • ③ 종합시험의 구술시험에 불합격한 자는 차후 1회에 한하여 구술시험에 재 응시 할 수 있다.

학위논문제출

< 석사학위과정 >
  • 1. 졸업하고자 하는 학기 초(3월,9월 말까지)에 논문제목과 논문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학위논문연구계획서를 지도교수와 위원(총3인)의 승인과 주임교수의 결재를 득하여 학과 사무실에 제출한다.
  • 2. 학위논문 예비 심사 일정 : 중간고사 기간 중
  • 3. 학위논문 본 심사 일정 : 학기말고사 기간 중
< 석 · 박사통합과정 및 박사학위과정 >
  • 1. 졸업하고자 하는 학기의 전 학기 중간고사 기간 이전까지 논문제목과 논문심사위원회를 구성하여 학위논문연구계획서를 지도교수와 위원(총5인)의 승인과 주임교수의 결재를 득하여 학과사무실에 제출한다.
  • 2. 학위논문연구계획서 심사일정 : 계획서 제출과 동시에 중간고사 기간 중
  • 3. 학위논문 예비 심사 일정 : 졸업예정학기 중간고사 기간 중
  • 4. 학위논문 본 심사 일정 : 졸업예정학기 학기말고사 기간 중

학위수여명

  • 석사 : 공학석사(M.S.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 박사 : 공학박사(Ph.D.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환경공학과(석사과정) 교과목